TIGER US S&P 500

최종 업데이트: 2025-08-21 15:30

ETF 현재가

현재가
22,205
+10 (0.05%)
거래 정보
거래량
6,667,811
거래대금
147,930
시가
22,180
고가
22,220
저가
22,150
52주 고가
22,330
52주 저가
17,700
ETF 차트

S&P 500 인덱스

현재가
6,395.78
-15.59 (-0.24%)
거래 정보
시가
6,406.62
고가
6,408.4
저가
6,408.4
거래량
303,168,444
기준일자
2025-08-20
S&P 500 차트

ETF 호가 정보 (15:30:03.84)

매도 호가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22,220 (+0.11%)
58,081
22,215 (+0.09%)
35,079
22,210 (+0.07%)
1,131
매수 호가
22,205 (+0.05%)
33,864
22,200 (+0.02%)
35,110
22,195 (+0.00%)
44,457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0 (-100.00%)
0
스프레드 5원

투자 점수표

73
매수 점수
박스권 중심 매매, 단기 저점 근접, 호가·수급 상 매수세 우위. 기술적 중립~저가권 접근, 아래 제한적 하락시 추가매수 유효
54
매도 점수
상단 매물 부담, 추가상승시 단기 차익실현 가능. 22220~22230원 단기 저항 두터워 1차 매도 유효, 추격 단기 전량매도는 비추천
57
관망 점수
수급 균형, 방향성 부재 구간. 큰 변동성 없고, 모멘텀 대기 시점에선 관망도 유효
61
변동성 점수
박스권 횡보, 변동성 완화. 저점대비 반등 구간이나, 상단 매물대우로 급등/급락 위험 제한.
75
심리 점수
기술주/AI 성장 기대감, 잭슨홀 이벤트 경계. 실적, 정책 등 외부 재료 민감. 시장 경계감과 기대감 공존

ETF 구성종목

ETF 현금비중이 높아 미래 리밸런싱 및 시장 충격 완화에 유리. 나머지는 글로벌 빅테크·AI·플랫폼주 포진. AI·테크 비중 높아 단기 변동성, 중장기 성장 모멘텀 공존.
종목명 수량 평가금액 비중
설정현금액 0 1,113,133,853 50.00%
NVIDIA CORP 356 87,463,492 3.93%
MICROSOFT CORP 108 77,345,566 3.47%
APPLE INC 218 70,318,734 3.16%
AMAZON.COM INC 138 43,969,302 1.98%
META PLATFORMS INC-C 32 33,312,567 1.50%
BROADCOM INC 69 28,290,787 1.27%
ALPHABET INC-CL A 85 23,931,228 1.07%
ALPHABET INC-CL C 68 19,396,598 0.87%
TESLA INC 41 18,834,740 0.85%

수급

매수/매도 강세

매도강세
증권사: BNK증권, 키움증권, 미래에셋
  • BNK증권, 키움증권 등 대형 개인 중심 증권사에서 비중 있는 매도세(매도량 200만주 이상, 30% 수준).
  • 미래에셋 등 운용사 계열도 매도에 동참.
  • 주요 상위 매도 5사 총합 80% 수준, 평단가 22173~22191원으로, 금일가 대비 근접 매도 지속.
매수강세
증권사: BNK증권, 키움증권, 미래에셋
  • 동일 주요 증권사에서 매수 역시 강하게 유입(특히 BNK증권은 직전거래일 대비 7만7천여주 매수 증가).
  • 매수누적으로 만만치 않은 공방, 단일 증권사 중심 쏠림이 나타나지 않아 한방 수급전보다는 교차 순환매 양상.
상위 증권사 양방향 공방이 뚜렷하여, 단순 외국인/기관/개인 어느 한 주체보다 증권사 딜러·프랍·프로그램 등 기계적 교차매매가 주도함. 단기 추세는 수급 균형구간이나, 특정 방향성 돌파(22220~22150원)시 투자심리 변동 가능.

거래원

매도상위
랭킹 이름 매도 대금 평단가 비율 증감
1 BNK증 2,007,888 44,546 22,185 30.11% 0
2 키움증 1,833,147 40,680 22,191 27.49% 59,831
3 미래에 706,825 15,672 22,173 10.60% 2,532
4 I B K 469,839 10,422 22,181 7.05% 166
5 KB증권 416,081 9,232 22,188 6.24% 218
매수상위
랭킹 이름 수량 대금 평단 비율 증감
1 BNK증 1,962,538 43,538 22,184 29.43% 77,856
2 키움증 1,446,820 32,114 22,196 21.70% 146
3 미래에 742,822 16,474 22,178 11.14% 3,998
4 KB증권 587,482 13,034 22,186 8.81% 10,380
5 I B K 457,397 10,146 22,182 6.86% 0

기술적 분석

기술적 흐름 진단

  • 단기적으로 22150원 저점 이후 22220원까지 반등하며 강보합 마감. 최근 2거래일 연속 상승, 미니 박스권(22150~22220원)에서 위로 돌파 모색.
  • 단기 고점(22220원, 금일 고가) 돌파 시 모멘텀 강화, 박스 하단(22150원) 이탈 시 약세 전환 경계 필요.
  • 최근 S&P500 현물지수는 5거래일 연속 약상승세 후 단기 조정 구간 진입. 기술적으론 ETF도 고점권 상승 압력과 단기 부담이 혼재.

기술적 저항과 지지

단기저항선 22220~22230원
금일 고가 및 연중 박스권 상단, 돌파 시 강한 매수세 가능
단기지지선 22150원
최근 저점이자 박스권 하단, 이탈 시 단기 하락 반전 위험

예측

앞으로 30분 예측

22220원 추가 돌파 시도 후 소폭 반락 중간
상단매물이 상당히 두텁고, 단기 모멘텀이 약화될 경우 반락 마감 가능
22195~22205원 횡보세 지속 높음
매수·매도호가 맞물린 박스권 중심 흐름이 지속될 확률
22180원 일시 이탈 후 반등 중간
잔여 매도물량 급격히 출회될 시 단기 저가(22180~22150원) 테스트 후 매수세 유입하고 반등

잔여 거래시간 내 특별한 수급 변동 없다면 박스권(22195~22220원) 횡보 마감 가능성 높음

상단 돌파-V자 반등 보다는 저가 지지선 테스트/횡보 형태의 마감 전망 우세

큰 뉴스 재료만 없다면 단기 과민반응보다 차분한 마감 흐름 예상

금일 예측 범위

상단 22230~22250원
박스 상단 돌파 시, 연중고가/52주고가(22330원) 도달 전 재료 모멘텀 단기 연장 가능. 상단매물 방어력에 따라 22300원 터치 가능성도.
중심가 22200~22210원
매수·매도호가 맞붙는 중심구간. 수급 균형속에서 단기 횡보 가능성 높음.
하단 22150~22180원
모멘텀이 둔화되거나 외부 악재 시 최근 저점(22150원) 테스트. 이날 지지 이탈시 추가 하락 압력 확대 우려.

앞으로흐름예측

  • 박스권(22150~22220원) 상단 돌파 시 전고점(22330원) 테스트 가능성 높음.
  • 과거 1~2주 전처럼 단기 횡보 후 상승 동력 확보 시 22500원까지도 단기경신 여지.
  • 반면 지지선(22150원) 붕괴 시 저점 리테스트 및 22000원대까지 하락압력도 열려 있음.
  • 인덱스/S&P500, 단기 부진→반등 시나리오가 ETF 향방 결정

가격 흐름 주요 변수

  • S&P500 등 기초지수 단기 흐름(최근 지수 하락, 반등 시 ETF 연동)
  • 글로벌 주요 이벤트(FOMC, 잭슨홀 회의, 금리이슈 등)
  • 현물 매수-매도 호가잔량 변화 및 연중고점·저점 인근 매물벽
  • AI/빅테크 뉴스 등 실적 재료와 수급 뉴스
  • 환율 등 외부 변수(환헤지 미적용 됨, 원·달러 변동성 체크)

매매 전략

금일 매매 전략

요약

22200원 이하
1차 분할 매수
22180~22150원
2차 매수 (기술적 지지라인 접근시)
22220~22225원
박스상단 돌파 또는 추가매물 출회시 차익 실현
22250원 이상
단기 급등 시 연중고가 돌파 구간 추가 매도

매수 상세 전략

1차: 분할 매수 진입 22200원 이하

근거: 매수 1~3호가가 두텁고, 실 매물매수세 뚜렷. 단기 저점(22195~22205원 구간) 부근 분할 진입.

전략: 금일은 10~20% 선취, 하락시 추가 대기

2차: 지지라인 22150~22180원 접근시 추가 매수 22180~22150원

근거: 최근 저가(22150원) 리테스트시 저가매수 유입 예상

전략: 2차 매수, 장 막판 변동성 확대시 비중 확대

매도 상세 전략

1차 22220~22225원

조건: 금일 고점(22220원) 돌파 후 추가 매물 출회 시, 단기 차익 실현

근거: 상단 매도물량 다소 두터움, 횡보 모멘텀 약화시 1차 차익실현 효과적

전략: 10~30% 분할매도, 박스권 돌파실패시 신속 청산

2차 22250원 이상

조건: 강한 돌파 및 거래량 수반시 고점 갱신 단기 매도

근거: 연중고가 돌파 시 단기 이익 실현 구간 도달

전략: 잔여 물량 단계적 매도, 신규 진입분은 2차 상승시 청산

기간별 매수매도 전략

단기 전략
  • 22150~22220원 박스권 중심 매매, 박스 상단 돌파시 매수 탄력 모색, 하단 이탈시 신속 차익 실현·보수적 대응.
  • 매수호가 눈에 띄게 두텁고, 매수-매도 스프레드가 약해 추격매수보다는 저점주문 접근 우위.
중기 전략
  • 22100원대~22000원대 남아있는 지지라인까지 분할 매수 대응, S&P500 변동성 선반영 가능성 주시.
  • 차익실현은 22250원 이상 단기 고점 돌파시, 하방은 22000원 이탈시 일부 록 손절 고려.
장기 전략
  • AI 및 미국 기술주 대표 종목들 장기 성장 모멘텀 활용해 지속적 적립 매수 전략 유효.
  • 시장 충격(금리, 지정학)이 반복되어도 현금 및 우량 기술주 중심 ETF는 리스크 분산에 효과적.

종합 투자 상태 추천

단기
박스권 매매(1차 저가 분할 매수, 상단 근접시 차익실현)
수급 균형 구간, 단기 방향성 급전환시 신속대응 필수
중기
분할매수 확대, 22150~22000원대 꾸준히 매수관점
22230~22330원 돌파전 중립적 접근, 지지이탈시 분할대기
장기
AI/테크주 성장 베팅, 적립식 장기분할 매수 지속
높은 현금비중 및 우량대형주 구성이 리스크 완화 효과

투자 전략 팁

  • 1
    매수타이밍은 22200원 이하부터, 급하게 추격매수보다 분할진입 추천
  • 2
    박스권 돌파 여부 실시간 체크하며, 22230원 이상 돌파 시 성공적 반전 기회 잡기
  • 3
    AI/테크·S&P500 등 시장 주요 섹터 이슈 및 연준 관련 외부 변수 계속 모니터링
  • 4
    환율 등 외부 변수에 예민하므로 현금보유 비중/추가 매수 자금 조절 병행
  • 5
    단기차익 실현 목표는 과욕 금지, 현금비중 높은 장점 활용해 조정시 추가매수 기회로 삼기